녹내장 환자에서 비타민 B 복용의 유용성
진료실에서 환자가 녹내장은 어떻게 치료 하냐고 질문을 하셨을 때 환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전 환자들에게 좀더 친숙한 질환인 당뇨와 고혈압을 예로 들어 설명을 합니다. 평생 관리해서 조절해 나가야 하는 당뇨 고혈압처럼 녹내장도 지속적인 관리를 해야 하는 질환이라는 사실을 설명 드립니다. 질환을 없애는 개념의 치료(Cure)가 아닌 지속적 관리(Care)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녹내장은 당뇨 또는 고혈압과 비슷합니다. 그 유사성은 질환의 관리에 있어서도 나타나는데, 당뇨 또는 고혈압으로 진단된 환자가 당과 혈압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약물치료이겠지만 식이요법, 금연 절주 규칙적 운동등의 섭생(攝生) 관리 역시 중요한 요소입니다. 녹내장환자 역시 치료의 근간은 안압을 낮추는 것이고 안압은 약물, 수술을 통해 이를 달성할 수 있지만 섭생관리 역시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입니다. 생활 환경 개선(금연,절주,카페인 섭취 조절,수면습관 조절)을 통해 어느 정도의 안압 하강을 얻을 수 있다는 점도 있지만 섭생관리가 중요한 요소가 되는 부분은 녹내장이라는 만성 신경 질환의 발생에 있어 안압 이외에 눈 주위 혈류 장애 의한 신경 손상 그리고 이런 손상에서 버틸 수 있는 신경세포의 저항성 정도가 중요한 병인기전이라는 점에 있습니다. 이런 안압 이외의 병인기전을 관리의 목표로 삼았을 때 식이, 운동, 수면 건강도, 생활습관 등 생활환경의 개선을 꼭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런 녹내장 관리를 위한 생활습관 개선에 대한 설명을 하는 과정에서 환자분들께서 많이 궁금해 하시는 부분중의 하나가 과연 영양제의 복용이 과연 녹내장 치료에 도움이 되는가 하는 것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제가 이전에 쓴 '녹내장에는 어떤 영양제가 좋을까요?' 에서도 설명드린바가 있는데요 오늘 제가 말씀드릴 것은 지난번 글에서 언급되지 않았던 비타민 B군 그중에서도 비타빈 B3 에 대한 것입니다. 인체에게 꼭 필요한 필수 영양소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무기질 그리고 비타민 인데 각각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탄수화물 (Carbohydrates)은 세포대사에 필요한 에너지의 주요 원천입니다. 운동 및 일상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하며 단백질 (Proteins)은 세포 구조의 주요 구성 요소이며, 조직 및 근육의 수리 및 성장에 관여합니다. 효소와 호르몬의 합성에도 필요합니다. 지방 (Fats)은 에너지 저장 및 신진대사에 필수적 영양소로 지방은 지방산과 글리세롤의 형태로 존재하며, 세포 구조, 호르몬 생산 및 신경 기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무기질 (Minerals)은 신체 구조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무기질은 뼈와 치아의 건강을 유지하고, 신경 전달 및 근육 기능에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비타민 (Vitamins)은 신체 기능에 필요한 유용한 화학 물질입니다. 비타민은 대사 과정에 참여하고 면역 시스템을 지원하며, 다양한 신체 기능을 조절합니다. 이런 영양소 중 특별히 어떤 요소가 특별히 중요한 요소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며 모든 것이 우리 몸의 기능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주요 영양소입니다. 하나의 영양소가 부족하면 건강과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균형 잡힌 식단이 중요합니다.
이중 비타민의 보충이 중요한 이유는 다른 영양소에 비해 소량이 필요하지만 도리어 결핍이 더 쉽게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비타민 자체가 비타민은 체내에서 아예 합성되지 않거나 합성량이 필요량에 미치지 않아 섭취가 필요한 영양소를 총칭하기 때문에 적절한 섭취가 중요한데 다음의 이유로 결핍이 생길 수 있습니다. 다양한 식품을 섭취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과다한 가공 식품을 섭취하는 경우에는 필요한 비타민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 할 수 있으며 질환이나 고령화로 인한 소화 및 흡수 장애로 섭취된 비타민이 충분히 흡수되지 못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과도한 알코올 섭취나 약물 남용은 비타민의 흡수를 방해하거나 비타민을 소모시킬 수 있으며 특정 질병 또는 상황: 만성 질병이나 특정 상황(임신, 수유, 고령 등)은 비타민 요구량을 증가시키거나 흡수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녹내장 환자의 경우 고령이거나 동반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균형 잡힌 식습관을 유지하지 못한다면 비타민의 부족에 더 쉽게 노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중 오늘의 주제인 비타민 B는 세포 대사를 돕는 조효소의 역할을 하는 수용성 비타민으로 신경세포에서의 기능유지에 꼭 필요한 요소이며 수용성이기 때문에 체내에서 배출이 빠르고 화학 구조가 약하여 잘 분해되기 때문에 꾸준히 보충되지 않을 경우 빠르게 결핍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비타민 B군 각 영양소의 역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비타민 B1 (티아민): 탄수화물 대사와 에너지 생산에 필요한 효소의 활성화를 지원합니다. 또한 신경 기능과 심장 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비타민 B2 (리보플라빈): 에너지 생산과 적혈구 형성에 관여합니다. 눈, 피부, 입술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비타민 B3 (나이아신): 에너지 대사를 촉진하고 신경 기능을 유지합니다. 또한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절하고 피부 건강에도 도움이 됩니다.
- 비타민 B5 (판토텐산): 지방과 탄수화물 대사에 참여하며 에너지 생산을 지원합니다. 또한 호르몬 및 콜레스테롤 합성에 관여합니다.
- 비타민 B6 (피리독신): 단백질 대사와 아미노산 변환에 필요하며, 혈액의 헤모글로빈 생합성을 지원합니다. 또한 신경 전달물질 합성에도 관여합니다.
- 비타민 B7 (비오틴): 지방, 탄수화물 및 아미노산 대사에 참여하여 에너지 생산을 촉진합니다. 또한 피부, 모발 및 손톱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 비타민 B9 (엽산): DNA 및 RNA 합성에 필요하며, 세포 분열 및 성장에 관여합니다. 임신 초기에는 태아의 신경관 발달을 지원하기도 합니다.
- 비타민 B12 (코발라민): 빈혈을 예방하고 중추 신경계 기능을 유지하는 데 필요합니다. 또한 DNA 합성에 관여하며, 에너지 대사를 지원합니다.
그림. 비타민B가 풍부한 음식
비타민 B군의 모든 영양소가 세포 기능 유지에 중요하지만 B1, B2, B3, B6, B12 는 특히 신경세포 기능 유지와 신경작용을 강화 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진행성 신경질환인 녹내장환자에 있어서 결핍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그리고 특히 이중에서 나이아신(Niacin, 니아신), 니코틴산(Nicotinic acid) 으로도 불리는 비타민 B3의 경우 녹내장과의 연관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 결과가 보고 되고 있습니다. 비타민 B3는 니아신산(nicotinic acid), 니코티나미드(nicotinamide), 니코티나미드 리보사이드(nicotinamide riboside)라는 세 가지 형태의 비타머(vitamer)를 포함하는 비타민입니다. 비타민 B3의 세 가지 형태는 체내에서 모두 니코티나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타이드(NAD)로 변환됩니다. NAD는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유지에 중요한 요소이기에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며, 비타민 B3 또는 트립토판 없이는 체내에서 생성할 수 없습니다.
비타민 B3는 세포 및 동물 실험에서 신경 보호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신경세포의 기능유지에 중요한 미토콘드리아의 크기와 운동성을 증가시키고, 녹내장에 대한 신경 보호 요법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국민건강영양조사(NHANES)를 기반으로 한 연구에서 24시간 기억식품조사 데이터를 분석하고 안과 검진을 통해 녹내장을 확인한 결과, 고령층에서 식이를 통해 섭취한 나이아신의 섭취 수준이 높을수록 녹내장 발병 위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나이아신의 평균 섭취량이 1mg 증가할수록 녹내장의 발병 위험도를 6%로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어 비타민 B3의 섭취량이 녹내장의 발병위험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임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녹내장 환자들에게 니코틴산아미드 형태의 비타민 B3를 높은 용량으로 보충하면, 시신경세포의 대사에 도움이 되어 스트레스를 줄이고 에너지 생산을 높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미토콘드리아의 크기와 활동성이 증가하고, 시신경의 활동 빈도가 감소합니다. 이런 신경기능 보호와 증진효과는 녹내장의 진행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여러 연구에서 이러한 고용량 비타민 B3 섭취가 녹내장의 진행을 늦추거나 완화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를 놓고 보았을 때 녹내장 환자에 있어서 비타민 B군 그중에서도 B3의 충분한 섭취는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손상되어 약해진 시신경세포의 기능을 강화하고 추가적인 시신경 세포의 손상을 막기위해선 비타민 B3의 결핍이 생기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고용량 요법이 녹내장환자에서 녹내장으로 인한 신경세포 손상을 억제해 준다는 연구 결과를 근거로 최대 녹내장 치료에도 손상이 진행되는 녹내장 환자의 보조요법으로 고려해 볼만합니다. 다만 하루 1.5~3.0g 이상의 고용량 복용시 소화기 장애, 간 기능 이상, 당내성(glucose tolerance), 피부 홍조, 시력 약화, 발진, 간지러움 등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하여 주의를 요하지만, 이는 복용을 중단하면 해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전문의에게 적절한 복용량을 지시 받고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약의 효과를 살필 경우 지속적인 비타민 B3 복용은 권할만 하다고 생각됩니다.
*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주변의 녹내장 전문의에게 문의 바랍니다. 주변의 녹내장 전문의는 한국녹내장학회 홈페이지 또는 https://koreanglaucoma.org 를 방문해서 검색하세요.
참고문헌
- Jingjing Hou , Yu Wen, Sijia Ga, Zhengxuan Jiang, Liming Tao Association of dietary intake of B vitamins with glaucoma. Sci Rep. 2024 Apr 12;14(1):8539. doi: 10.1038/s41598-024-58526-5.
- Jung KI, Kim YC, Park CK. Dietary niacin and open-angle glaucoma: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utrients. 2018;10(4):387. doi: 10.3390/nu10040387.
- Ramdas WD, Schouten JSAG, Webers CAB. The effect of vitamins on glaucom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Nutrients. 2018;10(3):359. doi: 10.3390/nu10030359.
- Taechameekietichai T, Chansangpetch S, Peerawaranun P, Lin SC. Association between daily niacin intake and glaucom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utrients. 2021;13(12):4263. doi: 10.3390/nu13124263.
- Lee SY, et al. Associations between niacin intake and glaucoma i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Glaucoma. 2023;32(6):443–450. doi: 10.1097/IJG.0000000000002216.
-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acin. Webpage in NIH. Accessed November 26, 2022. https://ods.od.nih.gov/factsheets/list-all (2020).
- Tribble JR, et al. Nicotinamide provides neuroprotection in glaucoma by protecting against mitochondrial and metabolic dysfunction. Redox Biol. 2021;43:101988. doi: 10.1016/j.redox.2021.101988.
- Carlos Gustavo De Moraes et al. Nicotinamide and Pyruvate for Neuroenhancement in Open-Angle Glaucoma: A Phase 2 Randomized Clinical Trial. JAMA Ophthalmol. 2022 Jan 1;140(1):11-18. doi: 10.1001/jamaophthalmol.2021.4576.
- Hui F et al. Improvement in inner retinal function in glaucoma with nicotinamide (vitamin B3) supplementation: A crossover randomized clinical trial. Clin Exp Ophthalmol. 2020 Sep;48(7):903-914. doi: 10.1111/ceo.13818. Epub 2020 Jul 28.
도움말: 올바른안과 이마빈